Surprise Me!

[더뉴스 더콕] 힘으로 유지되는 '하나의 중국' / YTN

2019-11-20 11 Dailymotion

중국에는 크게 나누더라도 55개의 소수민족이 존재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규모가 큰 일부 소수민족에서는 강력한 분리 독립 요구가 오랜 기간 이어져 왔고, 민족 차별에 대한 반감으로 인한 대규모 시위도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럴 때마다 중국은 군을 동원한 강력한 힘으로 이를 진압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더콕에서는 힘으로 유지된 하나의 중국, 과거 사례를 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청나라가 무너진 뒤 독립국을 유지하다 1951년 중국에 병합된 티베트에서는 1959년 군사 반란이 일어났고 같은 해 3월 대규모 시위로 번졌지만 중국군에 의해 유혈 진압됐습니다. <br /> <br />티베트인들은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를 지키자고 수십만이 모였던 3월 10일을 반중국 봉기일로 기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989년에는 봉기 30주년을 맞아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후진타오 당시 티베트 자치구 당서기는 강경 진압을 이끌었고 이후 중앙으로 진출해 국가주석에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올림픽을 앞둔 2008년에도 대규모 독립 요구 시위가 일어났지만 역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며 무력으로 진압 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장 위구르에서도 독립 요구가 강력히 분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2009년 '위구르 청년이 한족에 피살됐다'는 소문은 민족 감정을 자극했고 진상규명 요구에서 촉발된 시위가 차별철폐와 독립 요구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군과 경찰의 투입으로 200명에 가까운 사망자와 천 여명에 이르는 부상자가 발생한 시위는 사흘 만에 마무리됐습니다. <br /> <br />네이멍 자치구에서는 2011년 몽골족의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한족이 운전하던 트럭에 치어 숨진 몽골족 유목민을 향해 트럭 운전기사가 "몽골족의 생명은 몇푼 안된다"고 한 말이 발단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민족 차별에 대한 불만이 분출되며 대규모 반중 시위가 발생하자 중국 정부는 역시 군을 투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에서는 2014년 9월, 행정장관 직선제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두달 넘게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최루탄을 막는 용도로 등장한 우산이 저항의 상징으로 부각됐고, 당시 시위는 우산혁명으로 불립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현재 6개월째 진행되고 있는 홍콩 시위는 이른바 송환법을 계기로 촉발됐지만 우산혁명 때 이루지 못한 행정장관 직전제 등의 민주화 요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에서는 5년 전에도, 현재도 중국군이 투입되지는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소수민족 사례와 성격이 달라 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12013322289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